비즈니스 기능 기반 분해: MSA의 핵심

MSA의 성공은 서비스를 어떻게 분해하느냐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여기서 비즈니스 기능 기반 분해는 MSA를 설계하는 가장 강력하고 효과적인 접근 방식 중 하나입니다. 핵심은 기술적인 관점이 아닌, 비즈니스 관점에서 서비스를 정의하고 분해하는 것입니다. 즉,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핵심 가치, 즉 비즈니스 기능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쪼개는 것이죠.

전통적인 모놀리식 아키텍처에서는 모든 기능이 하나의 거대한 애플리케이션에 통합되어 있었습니다. 이는 개발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작은 변경에도 전체 시스템을 재배포해야 하는 부담을 안겼습니다. 반면, MSA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비즈니스 기능을 독립적인 서비스로 분리하여 개발, 배포, 확장의 유연성을 확보합니다.

비즈니스 기능 기반 분해의 필요성

비즈니스 기능 기반 분해가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비즈니스 변화에 대한 빠른 대응: 각 기능이 독립적인 서비스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비즈니스 요구사항 변경 시 해당 서비스만 수정하여 빠르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걱정 없이 변경사항을 배포할 수 있으므로 민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기술 스택의 다양성: 각 서비스는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가장 적합한 기술 스택을 사용하여 개발할 수 있습니다. 특정 기술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기술을 실험하고 적용할 수 있는 유연성이 확보됩니다.
  • 확장성과 장애 격리: 각 서비스는 독립적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특정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안정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개발 생산성 향상: 각 서비스는 독립적인 팀에서 개발할 수 있으므로, 개발 속도를 높이고, 팀 간의 의존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각 팀은 자신의 서비스에 집중하여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 기능 기반 분해 과정 및 참여자

비즈니스 기능 기반 분해는 단순히 기술적인 문제가 아니라, 조직 전체의 협업을 필요로 하는 과정입니다. 다음은 일반적인 과정과 각 단계에 참여하는 주요 역할입니다.

  1. 비즈니스 도메인 분석: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전체 비즈니스 도메인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비즈니스 분석가(Business Analyst)와 제품 책임자(Product Owner)는 비즈니스 요구사항과 사용자 스토리를 분석하여 핵심 도메인과 하위 도메인을 정의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도메인 주도 설계(Domain-Driven Design, DDD)와 같은 방법론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2. 기능 정의 및 우선순위 결정: 비즈니스 분석 결과에 따라, 제공해야 할 비즈니스 기능을 정의합니다. 각 기능은 독립적으로 개발, 배포, 확장할 수 있도록 충분히 작은 단위로 분해되어야 합니다. 기능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구현 순서를 계획합니다.
  3. 서비스 설계 및 인터페이스 정의: 각 기능을 독립적인 서비스로 구현하기 위한 설계를 시작합니다. 소프트웨어 아키텍트(Software Architect)는 서비스 간의 상호작용을 정의하고, API를 설계합니다. API는 서비스 간의 의존성을 최소화하고, 독립적인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4. 서비스 구현 및 테스트: 개발자(Developer)는 정의된 서비스 설계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구현합니다. 테스트 엔지니어(Test Engineer)는 각 서비스의 기능을 철저히 검증하고, 전체 시스템의 통합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5. 배포 및 운영: 서비스는 독립적으로 배포되어야 합니다. 운영 엔지니어(Ops Engineer)는 서비스를 배포하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모니터링 및 로깅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비즈니스 기능 기반 분해의 산출물

비즈니스 기능 기반 분해 과정에서 다양한 산출물이 생성됩니다.

  • 도메인 모델: 비즈니스 도메인 분석 결과를 문서화한 모델입니다. 핵심 도메인, 하위 도메인, 엔티티, 값 객체 등을 정의합니다.
  • 서비스 정의서: 각 서비스의 역할과 책임, API 명세, 데이터 모델 등을 정의합니다.
  • API 명세: 서비스 간의 상호작용을 정의하는 API 명세입니다. OpenAPI(Swagger)와 같은 표준을 사용하여 문서화합니다.
  • 서비스 다이어그램: 서비스 간의 의존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다이어그램입니다.
  • 배포 파이프라인: 각 서비스의 배포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파이프라인입니다.

사례 및 참고 자료

비즈니스 기능 기반 분해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몇 가지 사례를 통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전자 상거래 플랫폼: 주문 관리, 상품 관리, 결제 처리, 사용자 관리 등과 같은 기능을 독립적인 서비스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 스트리밍 서비스: 콘텐츠 관리, 사용자 관리, 결제 처리, 추천 엔진 등을 독립적인 서비스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교육 플랫폼: 강의 관리, 학습 관리, 사용자 관리, 평가 관리 등을 독립적인 서비스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자료들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 Domain-Driven Design: Tackling Complexity in the Heart of Software (Eric Evans 저)
  • Building Microservices (Sam Newman 저)
  • Microservices Patterns (Chris Richardson 저)

결론

비즈니스 기능 기반 분해는 MSA의 핵심 원칙이며, 올바르게 수행될 때 시스템의 유연성, 확장성,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관점에서 시스템을 이해하고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협업을 통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이 비즈니스 기능 기반 분해를 깊이 이해하고, 실무에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