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MSA)로 전환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서비스 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각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개발, 배포,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API 기반 통신입니다. 모놀리식 아키텍처에서는 애플리케이션 내부의 함수 호출이나 공유 메모리를 통해 서비스 간 통신이 이루어졌다면, MSA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간 상호작용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각 서비스는 명확하게 정의된 API를 통해 서로 통신하며, 이는 서비스 간 의존성을 줄이고 유연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에서 API 기반 통신의 중요성

모놀리식 아키텍처에서는 단일 프로세스 내에서 모든 것이 실행되기 때문에, 서비스 간 통신에 대한 고민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하지만 MSA 환경에서는 각 서비스가 서로 다른 프로세스, 심지어 다른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간 통신을 위해 표준화된 방법이 필요합니다. 바로 이때 API가 등장합니다. API는 서비스가 다른 서비스에 제공하는 기능과 데이터에 대한 계약이며, 이를 통해 각 서비스는 내부 구현 세부 사항을 숨기고, 외부 서비스는 API 계약에 따라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API 기반 통신이 MSA에서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서비스 간 결합도를 낮춰 각 서비스의 독립성을 보장합니다. 이는 각 팀이 자신의 서비스에 집중하여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게 하며,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향상시킵니다. 둘째, 다양한 기술 스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각 서비스는 필요한 기술 스택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개발 생산성을 높이고 기술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셋째, API는 재사용성을 높여 전체 시스템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API 기반 통신을 위해서는 API 설계, 문서화, 테스트, 관리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합니다. API 설계는 각 서비스가 제공해야 할 기능과 데이터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과정입니다. API 문서는 개발자들이 API를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합니다. API 테스트는 API가 예상대로 동작하는지 검증하는 과정이며, API 관리는 API의 버전 관리, 보안, 모니터링 등을 포함합니다.

API 기반 통신을 고려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API의 안정성입니다. API는 서비스 간 통신의 중심이므로 안정적으로 작동해야 합니다. 둘째, API의 성능입니다. API 호출은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셋째, API의 보안입니다. API는 외부로부터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으므로 보안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입니다. 넷째, API의 버전 관리입니다. API는 변경될 수 있으므로 버전 관리를 통해 기존 서비스를 안전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API의 문서화입니다. API 문서는 개발자들이 API를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합니다.

본 장에서는 MSA 환경에서 API 기반 통신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을 살펴볼 것입니다. 먼저, 웹 표준으로 널리 사용되는 RESTful API를 살펴보고, 그 특징과 설계 원칙을 알아볼 것입니다. 다음으로, 고성능 API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인 gRPC를 살펴보고, RESTful API와 비교 분석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간 비동기 통신을 위한 메시징 시스템인 Kafka와 RabbitMQ를 살펴보고, 각 시스템의 특징과 사용 사례를 알아볼 것입니다.

2.4.1. RESTful API:

RESTful API는 웹 표준에 기반한 API 설계 방식으로, HTTP 프로토콜의 메서드(GET, POST, PUT, DELETE 등)와 리소스(URI)를 사용하여 서비스 간 통신을 구현합니다. RESTful API는 이해하기 쉽고 구현하기 쉬워 널리 사용되며, 웹 서비스의 API를 설계하는 데 적합합니다. 본 장에서는 RESTful API의 기본 원칙, 설계 방법, 장단점, 그리고 실제 사용 사례를 자세히 살펴봅니다.

2.4.2. gRPC:

gRPC는 구글에서 개발한 고성능 RPC(Remote Procedure Call) 프레임워크로, 프로토콜 버퍼를 사용하여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고, HTTP/2를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gRPC는 빠른 속도와 효율적인 통신을 제공하며, 특히 내부 서비스 간 통신이나 대규모 서비스 통신에 적합합니다. 본 장에서는 gRPC의 특징, 장점, 단점, 그리고 실제 사용 사례를 자세히 살펴봅니다.

2.4.3. 비동기 메시징(Kafka, RabbitMQ):

비동기 메시징 시스템은 서비스 간 통신을 비동기적으로 처리하여 서비스 간 결합도를 낮추고 시스템의 확장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사용됩니다. Kafka와 RabbitMQ는 대표적인 비동기 메시징 시스템으로, 각각 다른 특징과 사용 사례를 가지고 있습니다. 본 장에서는 Kafka와 RabbitMQ의 특징, 장점, 단점, 그리고 실제 사용 사례를 자세히 살펴봅니다.

이 장을 통해 독자들은 MSA 환경에서 API 기반 통신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을 이해하고, 실제 시스템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지식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