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진단 발표 자료 다운로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위한 IT 진단 발표 자료를 다운로드하세요. 기존 시스템 분석, MSA 전략, DevOps 도입 방안 등 최적의 전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2025년 03월 10일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진단 발표 자료 다운로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진단 도구 발표자료

클라우드 네이티브로의 전환은 기존 애플리케이션과 인프라를 현대화하여 보다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환경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입니다. 이 프리젠테이션에서는 이러한 전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진단(Assessment) 서비스의 개념과 구체적인 방법론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현재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분석하고, 전환 가능성을 평가하며, 최적의 마이그레이션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필수) 개인정보 수집 및 동의
MSAP.ai는 방문자의 자료 이메일 발송 다운로드 서비스 이용을 위해 다음과 같이 개인 정보를 수집 및 이용합니다.
개인정보 수집·이용 내역
수집 항목 이메일 (필수), 회사명, 성명, 직급/직책, 연락처 (선택)
수집 목적 MSAP.ai 자료 다운로드 서비스 이용
보유 및 이용기간 서비스 이용 문의 접수일로 부터 5년간 보관
* 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다만 동의를 거부할 경우 자료 다운로드 서비스에 대한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프리젠테이션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위해 기업이 사전에 수행해야 할 평가 절차와 마이그레이션 전략을 상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존 시스템의 상태를 면밀히 분석한 후, 전환 전략을 수립해야 함
    • 단순 업그레이드로 해결할 것인지, 아니면 전체적인 아키텍처 재설계가 필요한지 판단
    •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전환하기 위한 작업시간과 인원을 파악할 수 있음
  1.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진단 도구(AMT 등)를 활용하여 마이그레이션을 계획적으로 수행해야 함
    • 수작업보다 빠르고 정확한 진단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음
  1. 컨테이너 및 CI/CD 기반의 운영 방식을 고려하여 전환을 수행해야 함
    •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은 단순한 기술 변화가 아니라 운영 방식의 혁신을 포함
  1. 보안 및 규제 준수를 위한 대비가 필요함
    •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보안 정책 및 기업 내부 규제 준수 여부를 미리 검토해야 함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진단 도구 발표 주요 내용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적 전환을 넘어, 비즈니스 요구사항과 운영 방식의 변화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중요합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진단 결과 예시 – 상세 분석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진단 결과 예시

클라우드 네이티브로의 전환은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각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상태에서 얼마나 적합한지 분석하는 진단(Assessment)이 필수적입니다.

첨부된 슬라이드는 이러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위한 진단 결과 예시를 보여주며, 47개의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진단 대상

해당 분석에서는 특정 조직의 XXX 화재 XXX 시스템 내 47개 서비스를 대상으로 컨테이너 마이그레이션 가능성을 평가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사용된 기술과 진단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애플리케이션 서버(Tomcat 5.5 ~ 9.0) 및 WAS(Web Application Server) 분석
  • 각 애플리케이션별 마이그레이션 특이사항 및 복잡도 평가
  • 사용 중인 JAVA 프레임워크 및 라이브러리에 대한 상세 분석

주요 평가 기준

진단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분석하여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의 가능성을 평가하였습니다.

  1.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현재 상태
    • Tomcat 5.5~9.0 및 기타 WAS(WebSphere, WebLogic 등)의 버전 확인
    • 서버별로 JDK(Java Development Kit) 버전 조사
    • 업그레이드 가능 여부와 컨테이너 환경으로의 전환 용이성 분석
  1.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분석
    • 기존 애플리케이션이 Spring Boot 기반인지 여부
    • WAR 파일로 패키징하여 배포되는 방식인지, 아니면 독립 실행형 JAR 방식인지
    • 외부 종속성(데이터베이스, API 등)에 대한 영향도 평가
  1. 라이브러리 및 프레임워크 평가
    • 사용 중인 Java 라이브러리의 최신 버전과의 호환성 점검
    • 특정 라이브러리가 구버전이거나 보안 패치가 중단된 경우 마이그레이션 필요

유닉스에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웹시스템 Unix to Container 전환 개요

첨부된 슬라이드는 기존 Unix 기반의 웹 시스템을 컨테이너 환경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IT 인프라를 최신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 적합하도록 개선하는 중요한 과정이며, 기존의 독점(Unix 기반) 환경을 개방형(Container 기반) 환경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핵심 목표입니다.

이러한 전환을 수행하는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운영환경과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분리하여 유연성을 높임
  • Java,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업그레이드를 통해 최신 개발환경 도입
  • 독점적인 하드웨어 및 OS 의존성을 제거하고 개방형 환경으로 전환하여 비용 절감 및 확장성 확보

애플리케이션 전환 진단 도구 – 점검샘플

RHAMT - 마이그레이션 점검 샘플

첨부된 슬라이드는 Application Migration Toolkit (AMT, 이전 JBoss Windup)을 활용하여 기존 애플리케이션의 마이그레이션 가능성을 점검하는 과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AMT는 특정 Application Server(WAS)에 종속적인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분석하고, 이를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으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작업량을 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이 슬라이드는 스토리 포인트(Story Points)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마이그레이션 시 예상되는 기술적 난이도 및 수행 시간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IT 팀은 마이그레이션의 복잡도를 평가하고, 보다 정확한 일정 및 리소스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스토리 포인트란?

스토리 포인트(Story Points)는 애자일(Agile)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기능 구현이나 특정 작업의 규모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위입니다. 이를 AMT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기술적 요소(예: WAS 종속 코드)를 변경하는 데 걸리는 노력과 시간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합니다.

스토리 포인트 활용 방식

AMT에서 사용되는 스토리 포인트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 특정 WAS 종속 코드 수정이 필요한 경우, 해당 코드의 복잡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
  • 기술 숙련도에 따라 스토리 포인트 1점당 1~3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산정 가능
  • 애플리케이션의 코드 구조, 종속성, 아키텍처 변경 필요성에 따라 난이도 평가

이를 통해 IT 팀은 마이그레이션이 단순한 코드 변경만으로 가능한지, 아니면 아키텍처 변경이 필요한 대규모 작업인지를 사전에 판단할 수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진단 도구 보고서 주요 내용

RHAMT - 보고서 내용

첨부된 슬라이드는 Application Migration Toolkit (AMT)을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마이그레이션 과정에서 필요한 코드 변경 사항을 상세히 분석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AMT는 특정 WAS(Web Application Server) 종속적인 코드를 검토하고, 이를 JBoss EAP 또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으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한 수정 작업을 제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슬라이드는 마이그레이션 시 필수적인 변경 사항과 선택적인 변경 사항을 구분하고, 변경의 난이도를 평가하는 Level of Effort(작업 난이도)를 제시하여, 개발자가 마이그레이션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보고서의 주요 분석 요소

보고서는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여러 요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주요 분석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변경 사항에 대한 상세한 설명
  • 변경이 필수적인지 선택적인지 여부 판단
  • 변경이 쉬운지 어려운지(Level of Effort) 분석
  •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추가적인 팁과 정보 링크 제공

이러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함으로써, 개발자는 필수적으로 수정해야 할 부분을 우선적으로 반영하면서, 마이그레이션을 보다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예제: 필수 변경 항목 난이도 분석

Issue by Category Incidents Found Story Points per Incident Level of Effort Total Story Points
WebLogic proprietary logger (NonCatalogLogger) 19 1 Trivial change (1:1 라이브러리 변경) 19
Call of JNDI lookup 5 1 Trivial change (1:1 라이브러리 변경) 5
WebLogic T3 JNDI binding 3 3 Complex change (문서화된 솔루션 제공) 9
JMX MBean object name 2 1 Trivial change 2
WebLogic InitialContextFactory 2 3 Complex change 6

의미

  • 단순한 1:1 라이브러리 변경이 가능한 경우, 난이도가 낮고 빠르게 수정 가능
  • T3 JNDI 바인딩 및 특정 WebLogic API는 문서화된 복잡한 변환이 필요, 따라서 마이그레이션 시 우선 검토해야 함
  • JMX, InitialContextFactory 등의 변경은 복잡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기능 테스트를 수행하면서 점진적으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

마무리

이 프리젠테이션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고려하는 기업들에게 진단도구 에 대한 소개와 체계적인 진단과 마이그레이션 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앞두고 있다면, 사전에 면밀한 분석을 수행하고 올바른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References & Related Links